연봉 실수령금 조회 확인하기 본문

연봉 실수령금 조회 확인하기

나이킥 2017. 10. 6. 17:55


요즘 마음에 드는 기업에 취업하기가 하늘에 별따기 만큼이나 어렵다고 합니다. 어렵사리 했다고 해도 원하는 연봉이 아니여서 좌절하는 사람도 많은데요. 오늘은 본인의 연봉이 실질적으로 얼마나 통장에 월급으로 들어오는지 연봉 실수령금 조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취업을 하게 되면 4대 보험 그러니까 국민건강보험,국민연금보험,고용보험, 산재보험을 의무적으로 들어야 해서 산재보험을 제외한 3가지 보험에 대해서 사업주와 근로자가 반반 정도 부담하여 보험료를 납부하고 소득세나, 지방소득세 등이 월급에서 빠져나가게 됩니다.




그래서 연봉 실수령금 확인하기 앞서 이런 부분이 징수 된다 정도를 알고 있으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그러면 계산기를 통해 확인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서비스는 채용, 구인구직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인에서 확인할 수가 있으며 검색 포털에서 검색후 접속을 해보겠습니다.





상단에 채용정보, 직업별, 지역별 등 메뉴가 있고 오른쪽에 보면 연봉정보 항목을 클릭해 이동을 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오른쪽 하단에 보면 간편 연봉계산기 내용이 보이고 여기서도 이용을 할수 있지만 계산기 정식버전을 통해 연봉 실수령금 조회 확인하기가 가능합니다.





연봉계산기는 앱을 통해서도 이용이 가능하며 국세청 간이세액표를 기준으로 표시가 되며 연봉/월급 선택후 퇴직금 여부, 연봉, 비과세액, 부양가족수, 자녀수를 입력하면 나의 예상 실수령액이 확인이 가능합니다.





비과세 항목은 대기업이나 공무원이 아닌 이상 기본적으로 식대 10만원으로 설정을 하면 되고 연봉 3800만원을 기준으로 했을 때 이렇게 결과가 나왔습니다.





사람인에서 제공하는 2015년 표를 보면 현재와 간이세액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다소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한번 비교를 해보라고 가지고 왔습니다.  



1800만원을 받을 경우 137만원을 가져갈수 있으며 4000만원을 받을 경우 294만원 정도를 수령가능하게 됩니다. 이렇게 해서 연봉 실수령금 조회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초년생이라면 자신의 월급이 얼마 정도의 세금을 징수 하는지 확인을 해볼 필요성이 있을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otal
Today
Yesterday